본문 바로가기
항공기 선박 자동차 무기

`2022년 1월 1일 일출시간 해맞이 천체박명 항해박명 시민박명 뜻 / flightradar24 , 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노라드(NORAD) 산타클로스 위치 추적 서비스

by 45분점1 2021. 12. 16.

이제 2021년의 한해도 저물어 가네요.

요즘의 시기에는 해넘이 행사나 해돋이 또는 해맞이 축제에 대한 관심이 한창 높을 시즌이어야 하지만 코로나 때문에 축제들은 전부 취소됐죠.

해맞이 축제는 없지만 새해 해맞이를 보려면 해가 뜨는 시간인 일출시간이 궁금할 텐데요.

일출시간을 정확히 아는 방법은 한국 천문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일출시간을 확인하시면 되는데요.

간편하게 일단 천문우주 지식포털 사이트의 주요 도시의 일출몰 시간표의 링크를 가져왔어요. 일출시간표 바로가기

 

월별 해/달 출몰시각 | 생활천문관 | 천문우주지식정보

 

astro.kasi.re.kr

일출몰 시간표에 시민박명, 항해박명, 천문 박명이라는 게 눈에 뜨일 텐데요.

박명은 해가 아직 뜨지 않았지만(혹은 해가 졌지만) 밝아오는 상태 (혹은 여전히 밝은) 상태를 뜻하는데요. 

해가 진 이후에는 황혼이라고도 하죠.

해가 뜨기 전에는 여명이라고 표현하는게 맞겠군요.

여명은 Dawn, 황혼은 Dusk. 이 둘을 합친 개념은 Twilight로 박명이라고 해요.

시민박명은 Civil twilight인데요. 해가 떠오르지 않았거나 졌지만, 밝은 상태에서 사물의 식별이 가능한 상태이고요.

항해 박명은 Nautical Twilight로 지상의 물체를 명확히 식별할 수 없이 윤곽만 볼 수 있는 상태로, 

해상에서는 수평선의 구분은 겨우 가능하지만, 지평선의 구분은 불가능한 상태 정도예요.

천문 박명은 천문학에서 중요한 개념인데요. 해가 뜨지 않은 상태지만, 지평선 아래의 태양의 빛이 대기 상층부에 산란되어서 별빛을 관측할 수 없는 시간대예요.

각각 시민박명은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0도에서 6도 사이에 위치할 때, 항해 박명은 6도에서 12도 사이에, 천문 박명은 12도에서 18도 사이에 위치할 때를 뜻해요.

2021년 주요 새해 해맞이 명소의 일출시간과 해넘이 일몰 시간표는 다음과 같아요.

곧 새해가 다가올텐데 천문연구원 일 안 하네요.

2022년 일출시간이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지 않기 때문에 2022년 1월 1일 일출시간 대신 2021년 일출시간을 올려놓았습니다.

사실 매년 같은 날짜의 해가 뜨는 시간은 큰 오차가 없습니다.

대충 몇십 초 단위 정도...

시간표 때문에 30초 늦게 일출 시간에 도착해서 해 못 봤다는 핑계보다, 가다가 길 막히는 게 더 크겠죠?

아무튼 올해 마지막 날 일몰과 내년 새해 일출 시간은 아래 시간표를 참조하세요.

각 지역의 일몰/일출시각 안내

지역2020년 12월 31일 연말 일몰2021년 1월 1일 새해 일출시분시분
서울 17 24 07 47
강릉 17 16 07 40
광주 17 31 07 41
속초 17 15 07 42
정읍 17 30 07 42
평택 17 25 07 45
세종 17 25 07 43
안동 17 19 07 37
완도 17 33 07 39
원주 17 20 07 43
청주 17 24 07 42
춘천 17 20 07 45
충주 17 21 07 42
포항 17 18 07 33
독도 17 05 07 26
울릉도 17 08 07 31
경주 17 19 07 33
군산 17 29 07 44
김천 17 23 07 38
남원 17 28 07 39
대구 17 22 07 36
대전 17 25 07 42
동해 17 15 07 38
창원 17 23 07 34
목포 17 33 07 42
보령 17 28 07 45
부산 17 22 07 32
사천 17 26 07 36
상주 17 22 07 39
서귀포 17 37 07 37
서산 17 28 07 47
수원 17 24 07 46
여수 17 28 07 37
울산 17 20 07 32
울진 17 16 07 36
인천 17 25 07 48
전주 17 28 07 42
제주 17 36 07 38
천안 17 25 07 44
태백 17 17 07 38
통영 17 25 07 34
지역2020년 12월 31일 연말 일몰2021년 1월 1일 새해 일출시분시분
인천백령도 17 32 07 57
인천대청도 17 32 07 57
인천소청도 17 32 07 56
인천연평도 17 29 07 52
석모도민머루 17 26 07 50
강화도동막 17 26 07 49
인천을왕리 17 26 07 49
인천월미도 17 25 07 48
무의도하나개 17 26 07 49
영흥도장경리 17 27 07 48
화성전곡항 17 26 07 47
화성제부도 17 26 07 47
화성궁평 17 26 07 47
당진난지도 17 27 07 48
당진왜목마을 17 27 07 47
서산간월암 17 29 07 47
보령대천 17 29 07 45
태안만리포 17 29 07 48
안면도꽃지 17 29 07 46
보령무창포 17 29 07 45
서천춘장대 17 29 07 45
부안격포 17 31 07 44
부안곰소항 17 30 07 43
영광가마미 17 32 07 43
무안도리포 17 33 07 43
진도세방낙조 17 35 07 42
완도보길도 17 35 07 40
신안흑산항 17 37 07 45
신안홍도 17 38 07 46
신안가거도 17 40 07 45
해남땅끝마을 17 34 07 40
제주차귀도 17 38 07 39
제주협재 17 38 07 39
성산일출봉 17 35 07 36
서귀포마라도 17 38 07 38
서귀포강정 17 37 07 38
서귀포표선 17 35 07 36
서귀포이어도 17 38 07 38
부산태종대 17 22 07 32
부산해운대 17 21 07 32
부산다대포 17 22 07 32
울산간절곶 17 20 07 31
대왕암공원 17 19 07 31
울산방어진 17 19 07 31
울산주전몽돌 17 19 07 32
감포수중릉 17 19 07 32
포항호미곶 17 17 07 32
포항구룡포 17 18 07 32
포항칠포 17 18 07 33
포항화진 17 18 07 34
영덕장사 17 18 07 34
영덕고래불 17 17 07 35
울진망양정 17 16 07 36
울진죽변 17 15 07 36
삼척맹방 17 15 07 37
동해추암 17 15 07 38
동해망상 17 15 07 38
강릉정동진 17 15 07 39
강릉경포대 17 15 07 40
강릉주문진 17 15 07 41
양양하조대 17 15 07 41
양양낙산 17 15 07 42
속초항 17 15 07 42
고성백도 17 15 07 43
고성송지호 17 15 07 43
고성화진포 17 15 07 43
거제학동몽돌 17 24 07 33
고흥외나로도 17 30 07 36
가지산 17 21 07 34
내연산 17 18 07 34
두타산 17 16 07 38
보현산 17 20 07 35
설악산 17 16 07 43
소백산 17 19 07 39
오대산 17 17 07 41
응봉산 17 16 07 37
주왕산 17 17 07 35
청량산 17 18 07 37
팔공산 17 21 07 36
토함산 17 19 07 32

해발고도에 따른 일출시각과의 차이

해발고도(m)일출시각차이(min)
0 0
20~30 -1
100 -2
200 -3
400 -4
600 -5
900 -6
1200 -7
1550 -8
2000 -9

북미 항공우주 방위사령부노라드(NORAD) 산타클로스 위치 추적 트래커

12월 1일이 되면 북미 항공우주 방위사령부라는 곳에서 산타 위치 추적 서비스를 실시한다.

산타와 북미 항공방위사령부가 무슨 관련이 있나 싶지만...

의외로 연관성이 있다.

우연히 실수로 인연을 맺게 된 어린이와 그 어린이의 동심을 지켜주고 싶었던 해리스 대령의 미담이 60년이 넘도록 전통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북미 항공 바위 사령부 노라드(NORAD)는 전 세계에 떠 있는 비행물체를 추적하고 감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군사기지다.

물론 하나의 레이더로만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전세계에 파병 및 파견된 미군의 대공감시 장비의 데이터가 집결되는 곳이다.

하필 그곳으로 1955년 한 아이가 실수로 잘못 건 전화로 "산타 할아버지가 어디쯤 와 있나요?"라는 질문에 대답해 준 것이 계기가 되어서 미군은 매년 이런 행사를 하고 있다.

 flightradar24 산타 위치 추적

사실 플라이트 레이더 24에서 산타 위치 추적 행사는 어린이를 위한 행사라기보다는 비행기 덕후를 위한 행사일 가능성이 크다.

노라드의 산타 위치 추적 이벤트는 12월 1일부터 시작된다.

물론 위치는 12월 24일에 공개되지만, 홈페이지를 통해서 게임을 즐기는 이벤트가 제공된다.

반면에 플라이트 레이다 24는 12월 24일 단 하루 전 세계에 떠 있는 수만 대의 비행기 중에서 santa1이라는 플라이트명을 찾는 소소한 이벤트다.

SANTA1 썰매 비행체를 찾으면 플라이트 레이더의 기능인 3D로 비행 중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심지어 이 비행체는 ICAO가 부여한 기체 타입 SLEIGH320를 부여받았다.

산타클로스 썰매의 레지 넘버는 HOHOHO.

기체의 기령이 무려 1747년이나 됐다.

올해는 아마 1745년이 되지 싶다.

게다가 이 비행체는 지구 상의 그 어떤 항공기도 내본 적이 없는 극초음속으로 비행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

위 캡처에서는 마하 27.60으로 비행 중인 것으로 나온다.

그도 그럴 것이 24시간 안에 지구 상의 모든 어린이들에게 방문하려면 음속 25 이상으로 비행해야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SLEIGH320은 9개의 엔진을 탑재한 Rangifer tarandus 기종이라는 설정이다.

착륙 직전인지 마하 2.25로 속도가 줄었다.

 

목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