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천체,우주150 올베르스 파라독스 Olbers' paradox: 밤하늘이 왜 어두운지를 설명하는 딜레마 올베르스 파라독스 Olbers' paradox: 밤하늘이 왜 어두운지를 설명하는 딜레마올베르스 파라독스(Olber's Paradox)는 천문학과 물리학에서 중요한 철학적 문제로, 밤하늘이 왜 어두운지를 설명하는 딜레마입니다. 이 파라독스는 1823년 독일의 천문학자 하인리히 올베로스(Heinrich Wilhelm Olbers)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지만, 실제로는 그 이전에도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논의된 바 있습니다. 올베르스 파라독스는 우주론, 천문학, 그리고 물리학에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며, 현대 우주론의 중요한 토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Olbers' paradox 올베르스 파라독스의 기초올베르스 파라독스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우주가 무한하고 영원하다면, 밤하늘은 왜 어둡습니.. 2024. 6. 23. 서울 근교 별보기 좋은 곳 서울 근교 별보기 좋은 곳서울 근교에는 별 관측하기 좋은 곳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추천하는 곳 몇 군데를 소개합니다.양평 중미산 천문대: 서울에서 차로 약 1시간 거리에 있는 양평 중미산 천문대는 서울 근교에서 가장 유명한 천문대 중 하나입니다. 망원경, 굴절망원경, 태양망원경 등 다양한 관측 기기를 갖추고 있으며, 전문가들의 관측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가평 자연과별 천문대: 가평 자연휴양림에 위치한 자연과별 천문대는 서울에서 차로 약 1시간 30분 거리에 있습니다. 중미산 천문대만큼 규모는 크지는 않지만, 야간 관측 프로그램과 함께 캠핑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안반데기 멍에전망대는 :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안반데기 멍에전망대는 서울에서 차로 약 2시간 거리에 있습니다. 안반데기는 .. 2024. 6. 17. 우주의 평균 색상 코스믹 라테, RGB 코드 우주의 평균 색상 코스믹 라테, RGB 코드코스믹 라테는 무엇인가?코스믹 라테(Cosmic Latte)는 우주 전체의 평균 색상을 의미하는 특별한 용어입니다. 이 색상은 2002년에 존스홉킨스 대학의 천문학자들이 은하들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로 도출된 것입니다. 연구자들은 다양한 은하들의 빛을 모아 평균적인 색을 계산했고, 그 결과 우주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처럼 검은색이 아니라 옅은 베이지 색상임을 발견했습니다. 이 색상을 "코스믹 라테"라고 명명한 것은 그 색상이 우리가 즐겨 마시는 카페 라테와 유사하기 때문입니다.코스믹 라테의 발견 배경2002년, 존스홉킨스 대학의 천문학자들은 우주에 존재하는 약 20만 개의 은하들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 연구는 은하들이 방출하는 빛의 다양한.. 2024. 6. 13. 포르투갈 유성, 운석 밤하늘을 밝힌 푸른 거대 별똥별 포르투갈 운석 밤하늘을 밝힌 푸른 거대 유성, 별똥별포르투갈과 스페인 밤하늘을 수놓은 푸른 거대 유성지난 19일,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밤하늘에 푸른 불빛을 발산하는 거대한 유성이 관찰되었습니다. 이 유성은 푸른 불빛을 내며 지상으로 접근할수록 더욱 커졌고, 유럽 우주국(ESA)이 이를 확인하고 공식적으로 보도하였습니다. 이번 현상은 소행성의 파편이 아닌 혜성의 파편으로 추정되며, 초당 45킬로미터의 속도로 대서양 상공을 지나가며 대기 중에서 소멸하였습니다.별똥별의 정의와 대기 진입 과정 유성, 흔히 별똥별이라고 불리는 현상은 소행성이나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암석이 지구 중력에 의해 대기로 진입하면서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암석은 대기와 마찰하며 불타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초고속으로 이동하는 물체 앞.. 2024. 5. 21. 부분월식이란? 다음 개기월식은 언제? 부분월식이란? 다음 개기월식은 언제?월식의 개념:부분월식이란?월식은 태양-지구-달의 일직선으로 배열될 때 발생합니다. 이때 달은 보름달입니다.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면 개기 월식, 반만 가려지면 부분 월식으로 나뉩니다.개기월식과 부분월식의 차이개기월식: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져서 발생합니다.부분월식: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일부만 가려져 발생합니다.2023-10-29(부분월식)과 2022-11-08(개기월식)월식과 일식의 비교월식(Lunar Eclipse):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입니다.일식(Solar Eclipse): 태양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입니다.월식과 일식의 관측월식 관측: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으며, 망원경을 이용하면 더 선명하게 볼 수 있습.. 2024. 5. 1. 보이저 1호 과학 데이터 전송 재개 보이저 1호 과학 데이터 전송 재개NASA가 보이저 1호의 상태에 대한 고무적인 소식을 발표했습니다. 보이저 1호는 최근 두 개의 과학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했습니다. 1977년에 태양계의 거대 행성들을 연구하기 위해 발사된 보이저 1호는 이제 곧 47주년을 맞이하게 되지만, 여전히 인류가 만든 물체 중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서 활동 중입니다.성간 공간에서의 수리2023년 11월, 보이저 1호는 46년간의 대장정 중 가장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보이저 1호의 오랜 나이로 인한 문제들은 이미 나타나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 보이저 1호는 오랜 임무 중 가장 심각한 위기 중 하나를 겪었습니다. 비행 데이터 시스템(FDS) 코드의 일부를 담고 있는 보이저 1호의 칩이 고.. 2024. 4. 22. 제임스웹 망원경 근황 - IRAS 2A 원시행성 구름속에서 알코올 발견 제임스웹 망원경으로 원시행성 구름 속에서 발견된 알코올과 유기 분자들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은 출범 이후로 천문학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며,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획기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제임스웹 망원경을 활용한 국제 천문학자 팀이 원시행성계에서 유기 분자들을 발견한 사실은 이 망원경의 위력을 다시 한번 입증해주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알코올을 포함한 여러 복잡한 유기 분자들이 원시행성 구름 속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우주에서 생명체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초기 연구와 제임스웹 망원경의 역할이번 발견은 사실 수십 년 전부터 과학자들이 예측해 왔던 것입니다. 실험실 연구를 통해 복잡한 유기 분자들이 원시행성에서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 2024. 4. 19. 보이저 1호 통신 성공, 현재위치 240억 km "나 아직 안 죽었다 으하하" 보이저 2호 속도, 보이저호 지구 사진 보이저 1호 통신 성공: 심우주에서의 새로운 소식 보이저 1호 "나 아직 안 죽었다 으하하" 미 항공우주국(NASA)의 최고령 탐사선 보이저 1호가 해독 가능한 신호를 발신하여 성공적인 통신을 이어가고 있다. 이 소식은 심우주에서 4개월 이상 지구와의 통신이 사실상 끊겼던 상황에서 전해졌다. 최근 NASA는 보이저 1호로부터 드디어 엔지니어들이 해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신호를 수신했다고 밝혔다. 이 소식은 과학계와 우주 탐사에 관심을 가진 많은 이들에게 큰 의미를 전달한다. 보이저 1호 통신 장애와 재송신 해결 과정 지난해 11월, 보이저 1호는 통신 계통의 결함으로 인해 지구와의 교신이 사실상 두절되었다. NASA에 따르면 보이저 1호의 엔지니어링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비행 데이터 시스템(FDS).. 2024. 3. 15. 美, '외계인 우주선 회수해 역설계' 코나 블루'(Kona Blue) 프로그램 검토했다 폐기 - AARO 보고서 美, '외계인 우주선 회수해 역설계' 프로그램 검토했다 폐기 미국 정부가 외계인 우주선을 회수해 역설계하는 프로그램을 한때 검토했으나 타당성이 부족해 승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계 생명체가 지구를 방문했거나 추락한 외계 비행선을 미국 정부가 회수해 숨기고 있다는 증거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정부 내에서 '미확인 비행물체'(UFO)를 조사하는 국방부의 '모든 영역의 이상 현상 조사 사무소'(AARO)는 1945년 이후 이상 현상에 대한 정부 기록 등을 검토한 결과 이같이 결론을 내렸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국방부는 보도자료에서 "현재까지 미국 정부와 기업이 외계 기술에 접근했거나 외계 기술을 역설계했다는 검증 가능한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면서 "AARO는 미확인 항공 현상(UAP·.. 2024. 3. 8.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